티스토리 뷰

반응형

재테크 통계

 

많은 20대는 “아직 돈도 없는데 무슨 재테크야?”라고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재테크는 돈이 많아서 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없을 때부터 준비해야 하는 삶의 전략이다. 작은 돈이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굴리기 시작하면, 30대, 40대가 되었을 때 그 격차는 상상 이상으로 벌어진다.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는, 20대에게 꼭 필요한 재테크 5가지를 소개한다.

1. 소비 습관 다잡기 – 가계부부터 시작하자

재테크의 시작은 '돈을 얼마나 버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모으느냐'다. 수입보다 소비가 많다면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부자가 될 수 없다. 가계부나 가계부 앱을 활용해 자신이 어떤 항목에 얼마나 쓰는지 분석해보자. 필요 없는 구독 서비스를 해지하거나, 충동구매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2. 목표 설정과 통장 쪼개기 전략

막연히 돈을 모으기보다는, 목표가 있는 저축이 훨씬 강력하다. 여행자금, 비상금, 투자금 등 구체적인 목적별로 통장을 나누자. 이런 통장 쪼개기는 지출을 통제하고, 각 항목에 맞는 소비를 하도록 훈련시켜 준다. 월급이 들어오면 먼저 저축부터 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하는 '선저축 후소비' 습관이 핵심이다.

3. 재테크 공부 – 돈도 공부가 필요하다

20대는 아직 시간이라는 최고의 자산을 갖고 있다. 그 시간 동안 제대로 된 금융 지식을 쌓는다면 훗날 큰 수익을 낼 수 있다. 요즘은 유튜브, 블로그, 전자책 등으로 쉽게 경제·금융 지식을 접할 수 있다. ETF, 펀드, 주식, 부동산 등 자산의 종류와 특성을 학습하자.

4. 소액 투자부터 경험해보기

처음부터 큰 돈을 투자할 필요는 없다. 요즘은 1주 단위로 주식 투자가 가능하고, 1만 원 단위의 소액 펀드도 많다. 투자를 통해 시장 흐름을 읽는 법, 리스크를 관리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때 중요한 건 '투기로 접근하지 말 것'. 투자 일기를 쓰며 자신의 판단 근거와 결과를 분석하는 것도 좋은 습관이다.

5. 비상금 마련 – 불확실한 미래를 위한 준비

예기치 않은 병으로 입원하거나 실직, 긴급 상황에 대비해 최소 3~6개월치 생활비 정도의 비상금은 반드시 마련해 두어야 한다. 이 비상금은 투자나 소비용이 아니라, 오직 ‘안전망’으로만 존재해야 한다. 금리가 낮더라도 접근이 쉬운 CMA 통장 등에 넣어두자.

마무리하며

20대는 아직 늦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가장 유리한 시기다. 지금은 작고 느릴지 몰라도, 시간은 복리의 마법을 일으킨다. 남들보다 조금 일찍 재테크를 시작하는 그 선택이, 미래의 나를 웃게 만들어줄 것이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