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올바른 분리배출은 인간과 지구가 공존하며 살아가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실천입니다. 플라스틱, 비닐, 유리, 스티로폼 외에도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을 분리배출 해야합니다. 금속류, 종이류, 소형 전자제품, 의류 등 품목별로 정확한 처리 방법을 숙지하고 실천하면, 자원을 아끼고 지구도 지킬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라스틱과 유리 외 품목들의 세부적인 분리배출 방법과 주의사항을 꼼꼼히 소개합니다.

캔 사진

1. 금속류, 캔류 분리배출 방법

금속류는 대부분 재활용 가치가 높은 소재지만, 올바른 분리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히려 쓰레기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알루미늄 캔(맥주캔, 탄산음료 캔)과 철캔(통조림 캔, 식용유 캔)은 내용물을 완전히 비운 후, 물로 깨끗이 헹궈 배출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가볍게 눌러 부피를 줄여 보다 쉽게 수거·운반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페인트 통, 부탄가스통, 살충제 용기와 같은 위험물질이 남아있는 금속 제품은 일반 금속류와 함께 배출해서는 안 됩니다.

이들 제품은 내부 압력이 남아 있을 경우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구멍을 뚫거나 압착하지 말고, 지자체나 주민센터가 운영하는 별도 수거함에 배출해주세요. 냄비, 후라이팬처럼 크기가 크거나 손잡이 등이 부착된 금속제품은 부착물(플라스틱 손잡이 등)을 제거한 후 금속류로 배출하거나,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여 별도 신고 후 배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금속류 분리배출의 핵심은 "내용물 비우기"와 "이물질 제거"입니다. 깨끗한 금속만이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종이 사진

2. 종이류 분리배출 방법

종이류는 가장 기본적인 재활용 품목이지만, 오염에 민감하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문지, 책자, 종이박스는 재활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품목입니다. 다만, 테이프, 비닐코팅, 금속 클립, 스프링 등 이물질을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 제거가 어려운 경우(예: 스프링 노트)는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종이박스는 펼쳐서 납작하게 만들고, 여러 개를 끈으로 묶어 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이컵은 내부에 코팅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일부 지역에서는 별도로 수거하거나 일반쓰레기로 분류하는 곳도 있습니다. 분리배출 시에는 반드시 깨끗이 헹궈야 하며, 음식물 오염이 심한 경우는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영수증(감열지), 사진, 코팅된 벽지, 코팅종이, 티슈류는 일반 종이류와 달리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이들은 모두 종량제봉투에 배출해야 합니다. 특히 음식물이 묻은 종이(피자박스, 튀김종이 등)는 재활용 공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므로, 깨끗한 부분만 찢어내어 종이류로, 오염된 부분은 일반쓰레기로 처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신문은 물기에 젖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반듯하게 펴서 차곡차곡 쌓아 끈으로 묶어 배출합니다.

소형 전자제품

 

3. 소형 전자제품, 의류, 기타 품목 분리배출 방법

소형 전자제품
고장난 핸드폰, 태블릿, 충전기, 이어폰, 리모컨 등 소형 전자제품은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일반 재활용품이나 일반쓰레기로 버려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소형 전자제품은 주민센터, 구청, 대형마트 등 공공기관에 설치된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일부 지역은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를 제공하여, 예약만 하면 집까지 와서 수거해가기도 합니다. 특히 건전지가 내장된 제품은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건전지를 분리하거나 별도로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의류
헌 옷은 재활용이 가능한 중요한 자원입니다. 깨끗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의류는 의류 수거함에 배출해야 하며, 손상된 옷(찢어진 옷, 심하게 오염된 옷)은 종량제봉투에 버려야 합니다. 가죽 재킷, 솜이불, 오리털 패딩 등 특수 소재가 포함된 의류는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신발이나 가방도 상태에 따라 재활용품으로 수거할 수 있으나, 오염이 심한 경우는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폐건전지·폐형광등
폐건전지와 폐형광등은 재활용이 반드시 필요한 품목입니다. 일반 쓰레기와 함께 배출하거나 분리배출품과 섞어 배출하면 환경오염 및 화재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폐건전지는 동주민센터, 아파트 관리사무소, 대형마트 등에 설치된 전용 수거함을 이용해 배출합니다. 폐형광등은 깨지지 않도록 조심하여 포장하거나,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특히 LED 조명은 별도로 분리 수거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해당 지자체의 분리배출 가이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올바른 분리배출로 깨끗한 환경을 지키는 데 함께 동참합시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